Algorithm/Concept 3

[알고리즘/Algorithm] 그래프를 탐색하기 위한 BFS

탐색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으로 DFS와 BFS를 꼽을 수 있다. 기본 자료구조인 스택과 큐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자료구조란 '데이터를 표현하고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의미한다. 그중 스택과 큐는 자료구조의 기초 개념으로 다음의 두 핵심적인 함수로 구성된다. 삽입(Push) : 데이터를 삽입한다. 삭제(Pop) : 데이터를 삭제한다. Stack 선입후출(FILO) 구조 또는 후입선출(LIFO) 구조라고 한다. ex) 접시를 쌓는 구조이다. Queue 선입선출(FIFO) 구조라고 한다. ex) 놀이공원 입장하기 위해 줄을 설 때, 먼저 온 사람이 먼저 들어가게 된다. BFS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하는 ..

[알고리즘/Algorithm] 아이디어를 코드로 바꾸는 구현

Implementation Algorithm 코딩 테스트에서 구현이란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이다. 흔히 문제 해결 분야에서 구현 유형의 문제는 '풀이를 떠올리는 것은 쉽지만 소스코드로 옮기기 어려운 문제'를 의미한다. 완전 탐색, 시뮬레이션 유형 두가지를 '구현' 유형으로 묶어서 다루고 있다. 완전탐색 : 모든 경우의 수를 주저 없이 다 계산하는 해결 방법 시뮬레이션 : 문제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한 단계씩 차례대로 직접 수행 상하좌우 여행가 A는 N X N 크기의 정사각형 공간 위에 서 있다. 이 공간은 1 X 1 크기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가장 왼쪽 위 좌표는 (1, 1)이며, 가장 오른쪽 아래 좌표는 (N, N)에 해당한다. 여행가 A는 상, 하, 좌, 우 방향..

[알고리즘/Algorithm] 당장 좋은 것만 선택하는 그리디 알고리즘

Greedy Algorithm 그리디 알고리즘에서의 탐욕적이다 라는 말은 현재 상황에서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 을 의미한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무식하게 문제를 푸는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단지 매 순간마다 가장 좋아보이는 것을 선택하고, 이 선택이 나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코딩 테스트에서 나오는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들은 타 알고리즘과 비교했을 때 미리 외우고 있지 않아도 풀 수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하지만 문제 유형이 굉장히 다양하기 때문에 많은 유형을 접하면서 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택을 위한 기준 매 순간 좋은 것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있다. 이러한 기준은 문제에서 알게 모르게 제시해준다고 하는데, 가장 큰 순서대로 , 가장 작은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