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Network 4

[네트워크/Network]HTTP

HTTP 모든 것이 HTTP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 (API)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 사용 HTTP/1.1 1997년: 가장 많이 사용,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버전(TCP기반) 특징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비연결성 HTTP 메시지 단순함, 확장 가능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X 장점 : 서버 확장성이 높음(scale out) 단점 : 클라이언트가 추가 데이터 전송 Stateful, Stateless 차이 Stateful : 중간에 다른 점원으로 바뀌면 안된다. 중간에 서버가 장애나면 큰일난다. 모든 ..

[네트워크/Network] URI - Webbrowser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Uniform: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자원,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제한 없음) Identifier: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scheme://[userinfo@]host[:port][/path][?query][#fragment] https://www.google.com:443/search?q=hello&hl=ko 프로토콜(https) 어떤 방식으로 자원에 접근할 것인가 하는 약속 규칙(ex) http, https, ftp 등등) http는 80포트, https는 443포트를 주로 사용, 포트는 생략가능 호스트명(www.google.com) 호스트명 도메인명 또는 IP 주소를 직접 사용가능 ..

OSI 7 layer

OSI 7 계층으로 나눈 이유 중요한 목적은 표준과 학습 도구이다. 표준화를 통해 이질적인 포트 문제나 프로토콜 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여 비용을 절감했다. 또한, 계층별의 기능과 통신 과정을 단계별로 나누어서 쉽게 알 수 있고,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그 단계만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1) Physical(물리) ex) Fiber, Wireless, Hubs, Repeaters 주로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2) Data Link(데이터 링크) ex) Ethernet, Bridge 물리 계층을 통해 송, 수신되는 정보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정보의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MAC 주소를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