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Problem Solving 155

[백준/BOJ] 2193 - 이친수

2193 - 이친수 📝문제 0과 1로만 이루어진 수를 이진수라 한다. 이러한 이진수 중 특별한 성질을 갖는 것들이 있는데, 이들을 이친수(pinary number)라 한다. 이친수는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 이친수는 0으로 시작하지 않는다. 이친수에서는 1이 두 번 연속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즉, 11을 부분 문자열로 갖지 않는다. 예를 들면 1, 10, 100, 101, 1000, 1001 등이 이친수가 된다. 하지만 0010101이나 101101은 각각 1, 2번 규칙에 위배되므로 이친수가 아니다. N(1 ≤ N ≤ 90)이 주어졌을 때, N자리 이친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코드 🤔Review 점화식을 쉽게 도출해서 금방 풀 수 있었다.

[백준/BOJ] 1463 - 1로 만들기

1463 - 1로 만들기 📝문제 정수 X에 사용할 수 있는 연산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이다. X가 3으로 나누어 떨어지면, 3으로 나눈다. X가 2로 나누어 떨어지면, 2로 나눈다. 1을 뺀다.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위와 같은 연산 세 개를 적절히 사용해서 1을 만들려고 한다. 연산을 사용하는 횟수의 최솟값을 출력하시오. 👨‍💻코드 🤔Review dp문제를 제일 어려워하는데 이 유형의 문제는 많이 풀어봐서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다른 문제들을 많이 풀어봐야겠다.

[백준/BOJ] 1931 - 회의실 배정

1931 - 회의실 배정 📝문제 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찾아보자.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같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시작하자마자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코드 🤔Review 문제의 조건에 끝나는시간과 시작하는 시간이 같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서 계속 틀린 이유를 찾지 못하였다. 문제를 풀 때 정확하게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백준/BOJ] 11047 - 동전 0

11047 - 동전 0 📝 문제 준규가 가지고 있는 동전은 총 N종류이고, 각각의 동전을 매우 많이 가지고 있다. 동전을 적절히 사용해서 그 가치의 합을 K로 만들려고 한다. 이때 필요한 동전 개수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코드 🤔 Review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 유형으로 바로 풀었지만 처음엔 while문 안에서 for문을 다시 돌리는 바람에 시간 초과가 발생하였다. while을 쓰지 않는 방향으로 생각하여 다시 문제를 풀게 되었다. 쉽다고 접근한 문제도 시간초과가 발생하니 다음부턴 최대한 효율적으로 풀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