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Problem Solving 155

[프로그래머스/Programmers] 거리두기 확인하기

거리두기 확인하기 📝문제 👨‍💻코드 dx = [0, 0, 1, -1] dy = [1, -1, 0, 0] def second(a, arr, x, y): result = 1 q = 0 for i in range(len(a)): for j in range(4): nx = a[i][0] + dx[j] ny = a[i][1] + dy[j] if nx >= 5 or ny >= 5 or nx < 0 or ny < 0: continue elif nx == x and ny == y: continue else: if arr[nx][ny] == 'P': q = 1 if q == 1: result = 0 else: result = 1 return result def first(x, y, arr): queue = [] for ..

[프로그래머스/Programmers] 메뉴 리뉴얼

메뉴 리뉴얼 📝문제 👨‍💻코드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def solution(orders, course): answer = [] temp = [] for i in range(len(orders)): for j in range(len(course)): arr = list(combinations(orders[i], course[j])) if arr: for k in arr: a = list(k) a.sort() temp.append(a) for j in range(len(course)): temp2 = [] temp3 = [] for i in range(len(temp)): if len(temp[i]) == course[j]: if temp.count(temp[i]) ..

[백준/BOJ] 10866 - 덱

10866 - 덱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덱(Deque)를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여덟 가지이다. push_front X: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 push_back X: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 pop_front: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pop_back: 덱의 가장 뒤에 있는 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덱이 비어있으면 1을, 아니면 0을 출력한다. front: 덱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덱에 들어있는..

[백준/BOJ] 10828 - 스택

10828 - 스택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stack = [] for i in range(n): a..

[백준/BOJ] 4949 - 균형잡힌 세상

4949 - 균형잡힌 세상 📝문제 세계는 균형이 잘 잡혀있어야 한다. 양과 음, 빛과 어둠 그리고 왼쪽 괄호와 오른쪽 괄호처럼 말이다. 정민이의 임무는 어떤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괄호들의 균형이 잘 맞춰져 있는지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짜는 것이다. 문자열에 포함되는 괄호는 소괄호("()") 와 대괄호("[]")로 2종류이고, 문자열이 균형을 이루는 조건은 아래와 같다. 모든 왼쪽 소괄호("(")는 오른쪽 소괄호(")")와만 짝을 이뤄야 한다. 모든 왼쪽 대괄호("[")는 오른쪽 대괄호("]")와만 짝을 이뤄야 한다. 모든 오른쪽 괄호들은 자신과 짝을 이룰 수 있는 왼쪽 괄호가 존재한다. 모든 괄호들의 짝은 1:1 매칭만 가능하다. 즉, 괄호 하나가 둘 이상의 괄호와 짝지어지지 않는다. 짝을 이루는 두 괄..

[백준/BOJ] 2609 -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2609 -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문제 두 개의 자연수를 입력받아 최대 공약수와 최소 공배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코드 a, b = map(int, input().split()) answer = 0 answer2 = 0 for i in range(1, min(a, b) + 1): if a % i == 0 and b % i == 0: answer = i answer2 = i * (a // i) * (b // i) print(answer) print(answer2) 🤔Review 간단한 수학문제이다.

[백준/BOJ] 1874 - 스택 수열

1874 - 스택 수열 📝문제 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 임의의 수열이 주어졌을 때 스택을 이용해 그 수열을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순서로 push와 pop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코드 from collec..